내가본 이슈

코로나 영향에 반도체 수출 증가..지난해 수출 달러 결제↑

인주백작 2021. 4. 23. 06:58

코로나 영향에 반도체 수출 증가..지난해 수출 달러 결제↑

이윤화 입력 2021. 04. 22. 12:00

 

한국은행 '2020년중 결제통화별 수출입' 발표
미 달러화 83.6%로 수출 비중 1년 만에 증가세 전환
코로나19에 수출 총량은 줄었으나 반도체 비중 증가
위안화 비중도 2%로 역대 최고..위안화 무역거래↑

 

[이데일리 이윤화 기자] 지난해 한국 기업들이 수출대금을 미달러화와 위안화로 받는 비중이 소폭 증가했다. 지난해 코로

나19 여파로 전체 수출 규모는 줄어들었지만, 미달러화 결제비중이 높은 반도체 및 정보통신기기 수출이 늘어난 영향이

다. 위안화 결제는 기계·정밀기기, 철강제품 등을 중심으로 수출이 증가했다. 반면, 원화와 엔화로 수출대금을 받는 비중

은 감소했다.

 

자료=한은

 

한국은행이 22일 발표한 ‘2020년중 결제통화별 수출입’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수출 결제대금 중 미달러화 비중은

83.6%로, 전년 대비 0.1%포인트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미달러화는 지난 2000년 이후 82~88%대 사이를 지속하며 1992

년 통계편제 이후 최대 수출결제통화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미 달러화 결제 비중의 증가는 달러화 결제비중이 높은 반

도체 및 정보통신기기 수출이 각각 5.4%, 12.9% 증가하며 전년대비 소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결제통화별 수출 비중은 미달러화(83.6%), 유로화(6.2%), 엔화(2.9%), 원화(2.5%), 위안화(2.0%) 순으로 5개 통화의

결제비중이 전체 수출의 97.1%를 차지했다.

 

지난 2010년 이후 비중이 늘고 있는 위안화의 수출대금 결제 비중도 0.2%포인트 증가한 2%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기계·정밀기기, 철강제품 등을 중심으로 위안화결제수출이 1년 전보다 5.1% 증가한 영향이다.

 

한은 관계자는 “2014년 12월 원-위안화 직거래 시장 개설 됐고, 2015년부터 국내 대기업 중심으로 위안화 무역거래가

늘고 있다”면서 “기존에는 달러화를 매개로 한 원-달러-위안 결제 구조였는데 원-위안화 직거래를 통해 환율 변동성 리

스크와 환전 수수료 등을 경감하려는 기업들의 노력이 일정 부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유로화 수출 비중 역시 전년 보다 0.1%포인트 오른 6.2%를 나타내 2년 연속 6%대를 기록했다. 이는 2009년 금융위기 이

후 최고치다. 화공품·정보통신기기의 유럽연합(EU)에 대한 유로화 결제 수출이 각각 14.5%, 15.9% 증가한 영향이다.

 

반면, 원화를 기준 수출대금 결제 비중은 2018년 8월 대이란 제재 발효 이후 대(對) 중동 원화 수출이 감소세가 이어가고

있다. 여기에 승용차의 대EU 원화결제수출 부진(-82.5%) 등으로 전년대비 0.1%포인트 하락한 2.5%를 기록했다.

 

엔화 비중은 철강제품, 기계·정밀기기 등을 중심으로 엔화결제수출이 감소(-10.7%)하면서 전년 동기 대비 0.2%포인트 하

락한 2.9%를 기록했다. 2019년 3.1%에서 1년 만에 2%대로 내렸다.

 

자료=한은

 

지난해 수입대금 결제 비중은 미달러화(78.1%), 원화(7.0%), 유로화(6.5%), 엔화(5.9%), 위안화(1.5%) 순으로 5개 통화의

결제비중이 전체 수입의 99%를 차지했다. 미 달러화로 주로 결제되는 원유·가스 등 에너지 원자재 수입이 국제유가 하락

등으로 31.9% 줄어들면서 미달러화 결제비중은 전년대비 2.5%포인트 줄었다. 지난해 원유도입 단가는 배럴 당 연평균

45.4달러로 2019년(65.5달러) 대비 30.8% 줄었다.

 

반면 원화와 위안화 수입 비중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고, 유로화와 엔화 수입 비중도 상승했다. 원화는 2019년 5월 이

란산 원유 수입 전면 중단으로 대중동 원화결제수입이 급감(-94.7%)했으나, EU 및 미국산 승용차의 원화결제수입이 각각

34.7%, 106.9% 증가하며 전년대비 1.1%포인트 증가했다.

 

위안화 수입 비중은 중국산 기계·정밀기기, 가전제품 등을 중심으로 26.5% 증가하며 결제 비중이 0.4%포인트 늘었다. 유로화는 1년만에 6%대로 반등했는데, 반도체제조용장비 등 EU산 기계·정밀기기를 중심으로 유로화결제수입이 2.1% 늘며

전년대비 0.6%포인트 증가했다. 엔화도 반도체제조용장비 등 일본산 기계·정밀기기의 엔화결제수입이 15.5% 늘면서 전

년 대비 0.3%포인트 증가를 기록했다.

 

이윤화 (akfdl34@edaily.co.kr)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