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교실

변 마려운데, 아무리 용을 써도 안 나온다면?

인주백작 2021. 2. 27. 10:52

변 마려운데, 아무리 용을 써도 안 나온다면?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1. 02. 16. 16:21 수정 2021. 02. 16. 16:31

 

아무리 용을 써도 변이 배출되지 않으면 출구폐쇄형 변비일 수 있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변비 중에는 반드시 병원 치료가 필요한 변비가 있다. 하지만 약국에서 구할 수 있는 일반약으로 버티거나 생활습관만

바꿔서 행동하다가 오히려 병을 키우는 환자가 많다. 생활습관만으로 해결되지 않는 변비의 원인에 대해 알아본다.

 

▷대장무력증=식사를 거르지 않고 잘 하는데도 일주일이 넘도록 변의(便意)가 거의 느껴지지 않는다면 대장의 신경세포

가 둔해지거나 죽어서 생기는 '대장무력증'일 수 있다. 대장무력증이 나타나는 정확한 이유는 밝혀지지 않았다. 선천적으

로 대장의 신경세포가 둔하거나, 변비약을 오남용 하는 것이 원인으로 추정된다. 대장은 근육으로 움직이는데, 신경세포

가 둔해지거나 죽으면 대장이 제대로 움직이지 않아 변이 대장을 무척 느리게 통과하는 대장무력증이 나타나는 것이다.

 

대장무력증은 신경세포의 문제이기 때문에 약국에서 파는 일반의약품에는 잘 반응하지 않고, 생활습관을 개선해도 효과

가 없다. 약효가 강한 장운동개선제 등을 병원에서 처방받아 사용해야 하며, 심한 대장무력증은 대장을 잘라내고 소장과

직장을 연결해주는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

 

▷​출구폐쇄형 변비=대장 운동은 정상이지만 직장(直腸)이 막히거나 열리지 않아 변이 나오지 못하는 것이 '출구폐쇄형

변비'다. 직장 구조 자체의 문제여서 생활습관으로 개선하기 힘들다. 출구폐쇄형 변비가 있이면 변이 마려운데 아무리 용

을 써도 변이 거의 나오지 않고, 속에 변이 없어도 계속 변의를 느낀다는 특징이 있다. ▲대장 운동은 정상이지만 항문주위의 근육인 치골직장근이 이완되지 않아 직장이 제대로 열리지 않는 '치골직장근 이상항진증' ▲직장과 질 사이의 벽

이 얇아지면서 늘어나 생긴 주머니 모양의 공간에 대변에 들어가 항문으로 잘 나오지 않는 '직장류' ▲직장 내 조직이 늘

어나 항문을 막는 '직장항문중첩증'이 출구폐쇄형 변비를 유발한다.​ 치골직장근 이상항진증의 경우 바이오피드백 치료가

효과적이다. 근육수축 감시장치를 항문속에 넣은 뒤, 장치와 연결된 모니터를 보면서 실제 대변을 볼 때처럼 힘을 준다.

 

이때 항문 주위 근육이 제대로 이완되지 않으면 화면에 틀렸다는 표시가 나타난다. 환자는 화면을 보면서 자신이 어떤 부분에 어떻게 힘을 줘야 하는지 알 수 있다. 심한 직장류·직장항문중첩증은 늘어난 조직을 절제해주는 수술을 시행한다.​

 

▷​대장암·파킨슨병=대장암과 파킨슨병은 공통적으로 변비가 잘 생긴다. 대장암은 암세포가 변이 지나가는 길을 막고,

파킨슨병으로 생기는 이상(異常) 단백질이 장 신경에 쌓이면 장 운동을 잘 못하게 된다. 때문에 50대 이후에 대장암·파킨

슨병으로 생기는 변비 증상은 생활습관을 바꿔도 차도가 없다. 50대 이상 중장년층이 혈변·변비 증상이 함께 나타나면

대장암의 신호일 수 있으며, 손 떨림·변비 증상이 함께 나타나면 파킨슨병 증상일 수 있다. 이때는 해당 질환을 치료해야

지만 변비 증상이 좋아진다.

 

Copyrights 헬스조선 & HEALTH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