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팩트체크

[팩트체크] '한일중'·'한중일' 어떻게 부르는게 맞나?

인주백작 2019. 12. 23. 21:54

연합뉴스

[팩트체크] '한일중'·'한중일' 어떻게 부르는게 맞나?

입력 2019.12.23. 16:28


3국 정상회의 정부 공식명칭은 개최 순번 반영해 '한일중'

한국언론은 관행적으로 '한중일' 많이 써


작년 도쿄서 열린 7차 한중일 정상회의 [연합뉴스 자료사진] 문재인 대통령이 아베 신조 일본

총리, 리커창 중국 국무원 총리와 함께 2018년 5월9일 오전 일본 도쿄 영빈관 '카쵸노마'에서

열린 제7차 한·일·중 정상회의 공동언론 발표에서 발언하고 있다. 2018.5.9


(서울=연합뉴스) 조준형 기자 = 24일 중국 쓰촨(四川)성 청두(成都)에서 열리는 한중일 정상회의는 올해로 8회째를 맞는 동북아 3국 간의 최고위 협의체다.

 

이 회의에 대한 각 언론사 보도에서의 명칭은 '한중일 정상회의'와 '한일중 정상회의'로 엇갈리는 가운데, 전자가 좀 더 많이 쓰이고 있다.

 

둘 중 어느 것은 맞고, 어느 것은 틀린다고 할 수는 없다. 다만 한국 정부의 공식 표기는 '한일중 정상회의'다.

 

23일 연합뉴스가 외교부와 한중일 협력사무국(TCS) 당국자에게 각각 문의한 결과 한국 정부 차원에서는 3국 정상회의를 거론할 때 '한일중'으로 공식 표기한다는 답을 받았다.

 

실제로 고민정 청와대 대변인은 지난 10일 브리핑에서, 한정우 청와대 부대변인은 19일 브리핑에서 각각 '한일중 정상회의'라고 칭했다.

 

세 나라 이름을 붙여서 부를 때 한국 정부로서 한국을 제일 앞에 거명하는 것이 당연한 일이다. 그다음 중국과 일본 중에서는 3국 정상회의의 개최 순번에 따라 일본-중국의 순서, 즉 '한일중'으로 공식 표기한다는 것이 외교부 및 TCS 당국자의 설명이었다.

 

한중일 정상회의는 1999년 아세안+3(한중일) 회의를 계기로 처음 열렸으며, 2008년부터 세 나라가 돌아가며 개최하는 것으로 정착했다.

 

제3국서 열리는 다자회의 기회를 활용해 개최하는 것이 아닌 한중일 세 나라 역내에서 별도로 3국 정상회의를 열기로는 2008년 일본 후쿠오카(福岡)에서 개최된 것이 처음이었고, 2009년 중국 베이징(北京), 2010년 제주도에서 각각 2,3차 회의가 열렸다. 이어 2011년(4차) 일본, 2012년(5차) 중국, 2015년(6차) 한국, 2018년(7차) 일본 순으로 개최됐다.

 

이로써 일본-중국-한국 순으로 3국 정상회의 의장국(개최국)을 맡는 순번이 정착했고 우리 정부는 3국 정상회의 관련 발표 등에서 '한일중'이라는 공식 표기법을 2010년대 초반부터 써 왔다.

 

그러나 정부의 공식 표기와 달리, 언론은 '한중일 정상회의'로 부르는 경우가 많다.

 

무엇보다 '남북미', '한미일'처럼 '한중일'도 하나의 명사처럼 굳어진 데다, 역사 문제와 얽힌 국민감정 측면에서 중국, 일본 중 일본을 먼저 거명하는 데 대해 국내 일각에서 느낄 수 있는 위화감을 감안한 표기 관행으로 풀이된다.

 

그리고 정부 안에서도 청와대와 외교부는 정상회의나 외교장관회의와 관련해 원칙적으로 '한일중'을 쓰지만 다른 부처들은 '한중일 FTA(자유무역협정)', '한중일 환경장관회의' 등과 같이 '한중일' 순서로 표기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연합뉴스 팩트체크팀은 팩트체크 소재에 대한 독자들의 제안을 받고 있습니다. 이메일(jhcho@yna.co.kr)로 제안해 주시면 됩니다.>>

 

베이징 도착한 문재인 대통령 (베이징=연합뉴스) 이진욱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23일 베이징

서우두 공항에 도착한 공군 1호기에서 내려 이동하고 있다. 문 대통령은 베이징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정상회담 후 쓰촨성 청두에서 열리는 한중일 정상회의에 참석한다. 2019.12.23

jhcho@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