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에 기초하지 않으면 비판 받아 마땅" 램지어 교수 비난 봇물..유튜브 항의움직임도 본격화
금철영 입력 2021. 02. 15. 07:00 댓글 0개
[앵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계약 관계에 기초한 매춘부'라고 주장한 램지어 하버드대 로스쿨 교수에 대한 비판이 온라인에
서도 확산되고 있습니다. 램지어 교수가 몸담고 있는 하버드대에서는 논문 철회 요구가 거세지고 있습니다.
워싱턴에서 금철영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채드/유튜브 운영자 : "여러분도 상처받고 화가 나셨다면, 서명한다는 의미로 댓글을 달고 자신의 이름을 써주세요."]
이 운동을 시작한지 하루만에, 조회수 5만을 넘었고 4천5백 명이 댓글을 남겼습니다.
뉴욕 한인학부모협의회를 포함해 시민 사회단체들은 오는 16일, 램지어 교수의 사퇴를 요구하는 온라인 기자회견을 예
고했습니다.
하버드대 한인학생회는 논문철회와 법대 학장의 입장 표명를 촉구하고 있습니다.
[강다은/미 하버드대 케네디스쿨 NPAID 정책학과정 2학년/한국학생회장 : "한번 출간이 되면 하버드대 교수가 썼다는
그 자체로도 많은 사람들이 자료로 쓸 수 있는 그런 논문이 되잖아요."]
당사자인 램지어 교수는 여전히 KBS 등 언론 인터뷰 요청을 거부하고 있습니다.
논문 공식 출판의 열쇠를 쥔 학술지 <국제 법·경제학 리뷰>측은 논문에 대한 우려를 밝히면서 반론을 게재할 수 있다는
입장입니다.
하지만 논문 철회 요구에 대해선 어떻게 대응할 지 밝히진 않았습니다.
하버드 법대 종신교수인 석지영 교수는 램지어 교수의 주장을 뒷받침할 만한 그 어떤 근거나 자료도 논문에서 인용되지
않았다며, 수십년 동안의 관련 연구는 그의 주장과는 다르다고 밝혔습니다.
[석지영/하버드 법대 교수 : "사실이 아닌, 사실과 증거에 근거하지 않은, 그 주장을 뒷받침할 만한 어떤 자료도 보여주지
못하는데도 글을 출간하려는 학자는 비판받아 마땅합니다."]
석 교수는 앞으로 관련 전문학자들이 램지어 교수의 글에 반대하는 것을 보게 될 것이라며 학계의 대응 움직임이 일고
있음을 시사했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금철영입니다.
촬영기자:한규석/영상편집:최찬종
금철영 기자 (cykum@kbs.co.kr)
저작권자ⓒ KBS(news.kbs.co.kr)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위안부' 개입 말라"…극우 인사들 미국에 메일 공세
입력 2021-02-15 06:18 | 수정 2021-02-15 06:23
"'위안부' 개입 말라"…극우 인사들 미국에 메일 공세
앵커
국내 극우인사들이 위안부 강제동원을 부정한 하버드대 로스쿨 램지어 교수를 지지하는 서한을 해당 논문을 실은 학술
지에 보냈습니다.
이어서 램지어 교수를 비판한 미국 학자들에게도 이메일을 보내 '외부인은 이 문제를 논할 권한이 없다'며 압박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워싱턴 박성호 특파원이 단독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미국의 현직 대학교수가 받은 이메일입니다.
제목은 '램지어 교수의 학문적 양심은 보호받아야 한다', 보낸 사람은 한국의 극우성향 매체인 '미디어워치'의 대표로 돼
있고, 여러 사람을 대신해 썼습니다.
"외부인은 위안부 문제를 논할 권한이 없다" "당신의 개입은 이성적 토론을 방해할 뿐이다", 사실상 잠자코 있으라는 압
박이 담겼습니다.
대신 극우 인사들이 위안부 강제동원을 부정하는 영상의 링크가 첨부됐습니다.
이 이메일을 받은 학자는 램지어 교수의 주장을 비판해 왔는데, "여러 동료들도 똑같은 메일을 받았으며 섬뜩해 했다"고
MBC에 전했습니다.
이들 극우인사들은 램지어 교수를 지지하는 성명을 하버드대와 논문이 실린 학술지에 보냈습니다.
여기엔 위안부 피해를 부정해온 이영훈 전 교수, 류석춘 전 교수를 비롯해 극우논객 정규재씨 등이 이름을 올렸습니다.
램지어 교수의 일본 편향 역사관은 이번에 갑자기 나온 게 아닙니다.
작년 3월 내놓은 논문 준비용 발표문에는 "부패하고 무능한 조선 왕조에 일본 정부가 안정적 질서를 도입했다", "이 새로
운 체제를 많은 한국인들이 받아들였고 1938년 이후 5년간 1백만 명이 일본군에 자원 입대했다"며 식민 지배를 정당화
한 일본측 주장이 그대로 실렸습니다.
위안부에 대한 일본 우익의 논리를 램지어 교수가 그대로 가져다 쓰고, 그걸 다시 한국내 일부 우익 인사들이 응원해주
는 셈이 됐습니다.
버지니아에서 MBC뉴스 박성호입니다.
MBC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불붙은 램지어 '징계' 청원…하버드 총장은 "학문자유"
워싱턴=CBS노컷뉴스 권민철 특파원2021-02-18 05:54
하버드 주변 한인사회로 확대
호주, 플로리다에서도 청원운동
하버드 총장 '학문의 자유' 옹호
반크가 진행중인 청원에 17일(미국시간) 오후 1만 5천명이 서명했다. change.org 캡처
일제의 성노예 제도를 부인해 논란을 빚고 있는 마크 램지어 미국 하버드 교수의 징계와 관련 논문 철회를 목적으로 진
행중인 국제 청원에 본격적으로 불이 붙기 시작했다.
사이버 외교사절단 반크가 지난 3일 세계 최대 청원 사이트인 '체인지'(change.org)에 올린 청원에 17일(현지시간) 오후
현재 1만 5천명을 넘겼다.
이 청원은 램지어 교수의 반성과 자진 논문 철회, 그의 논문을 게재할 예정인 학술지(국제 법 사회 리뷰)의 논문 철회, 하
버드대학의 램지어 교수에 대한 징계를 요구하고 있다.
반크는 청원 내용을 로렌스 배커우 하버드대 총장과 존 매닝 로스쿨학장에게도 발송했다.
그러나 로렌스 바카우 총장은 이미 반크에 답장을 보내 논문 철회 요구를 거부했다.
그는 이메일에서 "램지어 교수가 논쟁적인 견해를 표현한 것도 학문의 자유에 포함된다"고 밝혔다.
이런 가운데 하버드대 인근 지역에 거주중인 한인들도 집단 움직임에 나섰다.
하버드대가 소재한 매사추세츠 한인회를 비롯해 인근 뉴욕, 뉴저지한인회 등 17개 한인단체들은 공동으로 '체인지' 청원
사이트에 성명을 올리고 위안부와 관련된 램지어 교수의 모든 저술물의 삭제를 요청하는 한편 그의 논문을 게재하기로
돼 있는 '국제 법 경제 리뷰'측에 대해서도 사과를 요구했다.
이들 외에 플로리다와 호주에서도 논문 철회 등을 요구하는 청원이 진행중이다.
이날 오후 현재 플로리다의 청원에는 1100여명이, 호주의 청원에는 800여명이 각각 서명한 상태다.
'내가본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더나, 백신개발 공공투자 받고서 공평분배 약속 어겨" (0) | 2021.02.15 |
---|---|
원전 냉각수 넘쳐…"여진 계속, 더 큰 지진 올 수도" (0) | 2021.02.15 |
중국 싫어하는 미국인들... 시진핑 한방 먹인 바이든 (0) | 2021.02.15 |
국산 2호 코로나 치료제 자리 각축전…종근당 "이달 허가신청" (0) | 2021.02.15 |
"돈에는 이념 없다"…한국이 무섭게 봐야할 중국의 독한 전략[Dr. J’s China Insight] (0) | 2021.02.14 |